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은 1943년 2월 프랑스에서 창설된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이다. 제국 노동 봉사대 징집병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초기에는 기갑척탄병 사단이었으나 1943년 10월 기갑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동부 전선, 서부 전선, 헝가리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특히 아른험 전투에서 연합군 공수부대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연이은 전투로 인해 전력이 크게 소모되었다. 1945년 5월 미군에 항복하며 해체되었다. 사단 지휘관으로는 빌헬름 비트리히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유럽 전역에서 활동하며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악명 높고 종전 후 해체, 일부 생존자들은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 무장친위대 기갑사단 -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
제1SS기갑사단 경호친위대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히틀러 개인 경호 부대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작전에 참여했지만 전쟁 범죄에 연루되어 악명을 얻었고, 전쟁 후반기에는 후퇴전을 거듭하다 일부 병력이 베를린 전투에 참여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제5기갑군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기갑군으로, 북아프리카와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튀니지 전투,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3년과 1945년에 각각 항복하고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1943년 설립 - 펜타곤
펜타곤은 미국 국방부의 본부 건물로, 세계 최대의 오각형 건물이며 9·11 테러 당시 아메리칸 항공 77편이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펜타곤 추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1943년 설립 - 조선문인보국회
조선문인보국회는 일제강점기 말, 태평양 전쟁 지원과 국민총력 운동에 문학을 결합할 목적으로 결성되어 일제의 침략 전쟁을 지원하고 식민 통치를 선전하는 활동을 펼친 친일 문학 단체로, 일제 패망과 함께 해체되었다.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제9SS装甲師団 "호엔슈타우펜" |
별칭 | 호엔슈타우펜 |
소속 | 무장친위대 |
병과 | 기갑 |
종류 | 사단 |
역할 | 기갑전 |
표어 | 나의 명예는 충성 |
표어 (원어) | Meine Ehre heißt Treue |
역사 | |
창설 | 1943년 2월 |
해체 | 1945년 5월 |
규모 및 위치 | |
규모 | 사단 |
위치 | 노르망디 - 아른험 - 아르덴 - 헝가리 |
전투 |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파레즈 포위전) (마켓 가든 작전) (벌지 전투) (춘계 각성 작전) |
참전 전투 | 타르노폴 전투 파레즈 포위전 마켓 가든 작전 벌지 전투 춘계 각성 작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빌헬름 비트리히 실베스터 슈타들러 |
2. 편성
1943년 2월, 호엔슈타우펜은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와 함께 프랑스에서 편성되었다. 이 사단은 제국 노동 봉사대(RAD)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본래 기갑척탄병 사단으로 편성되었으나, 1943년 10월 기갑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지휘관은 빌리 비트리히 SS소장이었다. 호엔슈타우펜이라는 명칭은 프리드리히 2세를 배출한 독일 왕조에서 유래한다.[5][6]
한스 후베 기갑대장의 제1 기갑군이 우크라이나 카메네츠 포돌스키 근방에서 포위되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는 제1 기갑군의 구출을 위해 호엔슈타우펜과 프룬츠베르크 사단의 투입을 요청했다. 1944년 3월 말, 동부 전선에 도착한 두 사단은 제2 SS 기갑 군단 소속이 되어 타르노폴(Tarnopol) 공격에 동원되었다. 라스푸티차로 불리는 해빙기 진흙탕 속에서 힘든 싸움을 치른 끝에, 호엔슈타우펜은 부차치(Buchach) 근방에서 제1 기갑군과 조우했다. 이 전투로 큰 손실을 입은 사단은 4월 말 재편성을 위해 후방으로 물러났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이 프랑스에 상륙하자, 호엔슈타우펜을 포함한 제2 SS기갑 군단은 캉(Caen)을 방어하기 위해 노르망디로 이동했다. 아른험 전투 후, 호엔슈타우펜은 휴식과 재편성을 위해 파더보른(Paderborn)으로 이동했고, 1944년 12월 12일에는 문스터라이펠(Munstereifel)로 이동하여 아르덴느 공세에 투입될 준비를 했다. 요제프 디트리히 SS상급대장의 제6 SS 기갑군 예비 전력으로 배치된 사단은, 초기에는 일부 부대만 투입되었으나, 21일에는 사단 전체가 투입되었다.
북쪽에서의 공세가 지연되자, 사단은 바스토뉴(Bastogne)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했다. 호엔슈타우펜은 바스토뉴 근방에서 격전을 치렀으나, 미군의 강력한 저항과 연합군 전투폭격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45년 1월 7일, 히틀러는 작전 중단을 명령했고, 사단은 롱샹프(Longchamps) 부근에 전력을 집중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후 사단은 제5 기갑군과의 통신선을 유지하며 수비전을 펼쳤다.
2. 1. 초기 편성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은 자매 부대인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와 함께 1943년 2월 프랑스에서 창설되었다.[5] 이 사단은 주로 제국 노동 봉사단 징집병으로 구성되었다. 원래 호엔슈타우펜은 기갑척탄병|italic=node 사단으로 지정되었지만, 1943년 10월 약 19,000명의 병력을 가진 기갑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창설 당시 호엔슈타우펜은 SS-상급집단지도자 빌헬름 비트리히가 지휘했다.[5] 호엔슈타우펜이라는 명칭은 12세기와 13세기에 여러 왕과 황제를 배출한 독일 귀족 가문인 호엔슈타우펜 가문에서 유래되었다.[6]1942년 말, 나치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동부 전선에서의 무장친위대의 활약에 비추어, 친위대 대장하인리히 힘러에게 새로운 SS 사단의 창설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1943년 1월 2개의 장갑척탄병 사단 편성이 시작되었다. 당초 SS 장갑척탄병 사단 9로 명명된 사단은 베를린 근교의 리히터펠데에서 SS 보충 대대 LSSAH를 기반으로 편성되었으며, 병력의 70%는 징집된 신병으로, 그 대부분은 헝가리의 민족 독일인이었고, 사단원의 60~70%가 18세였다.
1943년 2월, 프랑스의 마이이르캉 훈련장으로 이동하여 2월 15일에 초대 사단장으로 빌헬름 비트리히 친위대 소장이 임명되었다. 3월에는 호엔슈타우펜 명칭을 받아 SS 장갑척탄병 사단 호엔슈타우펜이 되었다. 10월 22일에는 제9SS 장갑사단 호엔슈타우펜으로 개칭됨과 동시에 제1, 제2SS 척탄병 연대가 제19, 제20으로 변경되었으며, 다른 소속 부대는 9의 번호로 통일되었다. 11월 12일에는 제16SS 장갑척탄병 사단 RHSS로 일부 부대가 이적했다.
1944년 2월, 장갑교도사단과 교대하여 남프랑스의 지중해 연안으로 배치 전환되었고, 3월에는 실전 배치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제10SS 장갑사단 프룬츠베르크와 함께 제IISS 장갑군단을 구성, 군단 사령관은 파울 하우서 친위대 상급대장이 취임했으며, 그대로 OKW의 예비가 되었다.
2. 2. 부대 구성
1943년 1월, 2개의 기갑척탄병 사단 편성이 시작되었다. 당초 SS 장갑척탄병 사단 9로 명명된 사단은, 베를린 근교의 리히터펠데에서 SS 보충 대대 LSSAH를 기반으로 편성되었다. 병력의 70%가 징집된 신병으로, 그 대부분을 헝가리의 민족 독일인이 차지했으며, 사단원의 60~70%가 18세였다.[5]2월 15일 초대 사단장으로 빌헬름 비트리히 친위대 소장이 임명되었다. 3월 호엔슈타우펜의 명칭을 받아 SS 장갑척탄병 사단 호엔슈타우펜이 되었다. 10월 22일에 제9SS 장갑사단 호엔슈타우펜으로 개칭하고 동시에 제1, 제2SS 척탄병 연대가 제19, 제20으로 변경되었으며, 다른 소속 부대는 9의 번호로 통일되었다.[6]
사단 편성:[29][30]
명칭 |
---|
제9SS기갑연대 |
제19SS기갑척탄병연대 |
제20SS기갑척탄병연대 |
제9SS기갑포병연대 |
제9SS기갑정찰대대 |
제9SS기갑구축전차대대 |
제9SS기갑돌격포대대 (1944년 2월 해산) |
제9SS기갑공병대대 |
제9SS기갑통신대대 |
제9SS기갑대공포대대 |
제9SS기갑로켓발사기대대 |
제9SS기갑사단 보급 집단 |
제9SS 관측 중대 (1944년에 편성되었으나, 후에 해산) |
제9SS 위생 중대 |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은 1944년 6월 26일 노르망디에 도착했지만, 연합군 전투폭격기의 방해와 영국군의 공세로 인해 캉 수비전에 투입되었다. 엡솜 작전을 저지하기 위해 7월 초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였고, 이후 굿우드 작전과 토탈라이즈 작전에서 영연방군에 맞서 싸우며 팔레즈 포위망 탈출을 지원했다.
3. 전사(戰史)
노르망디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은 사단은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쳐 아른험 근방으로 후퇴하여 재편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마켓 가든 작전이 발동되자, 발터 하르처 SS중령의 지휘 하에 영국 제1 공수 사단과 교전하여 아른험 교량을 방어하고 오스테르베이크 부근에서 영국군을 압박하는 데 성공했다.
아른험 전투 이후, 호엔슈타우펜은 아르덴 공세(''라인강의 파수병'')에 참여했으나, 미군 방어선 돌파에 실패하고 큰 손실을 입었다. 1945년에는 헝가리에서 봄의 각성 작전에 투입되었지만,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과 열악한 지형 조건으로 인해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이후 사단은 서쪽으로 후퇴하여 1945년 5월 8일 미군에게 항복했다.
3. 1. 동부 전선 (1944년 3월 ~ 4월)
1943년 2월, 프랑스에서 자매 사단인 제10 SS 기갑 사단 프룬츠베르크와 함께 편성된 제9 SS 기갑 사단 호엔슈타우펜은 제국 노동 봉사대(RAD)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원래 기갑척탄병 사단으로 편성되었으나, 1943년 10월 기갑 사단으로 승격되었고, 편성 시 지휘관은 빌리 비트리히 SS소장이었다.
1944년 3월 말, 한스 후베 기갑대장의 제1 기갑군이 우크라이나 카메네츠 포돌스키 근방에서 포위되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는 제1 기갑군의 구출을 위해 호엔슈타우펜과 프룬츠베르크 사단의 투입을 요청했다. 동부에 도착한 두 사단은 제2 SS 기갑 군단 소속이 되어 타르노폴(Tarnopol) 공격에 동원되었다.
라스푸티차라 불리는 해빙으로 진창이 된 도로에서 힘든 싸움을 치른 호엔슈타우펜은 부차치(Buchach) 근방에서 후베 기갑대장의 제1 기갑군과 조우했다. 이 전투로 호엔슈타우펜은 심각한 손실을 입었고, 4월 말 재편성을 위해 후방으로 물러났다. 이후 제2 SS 기갑 군단은 북부 우크라이나 집단군의 예비 전력으로 "소방수" 역할을 수행했다.
구체적인 전투 경과는 다음과 같다.
24일, 제2SS 기갑 군단은 동부 전선 이동 명령을 받고 프랑스에서 출발했다. 4월 2일 렘베르크에 사단 선견대가 도착했고, 4일에는 전부대가 도착하여 로하틴(Rohatyn) 북쪽 집결지로 이동했다. 그러나 봄비로 인한 진창 때문에 이동이 지연되어 8일에야 주력이 공격 태세를 갖추었다.
5일, 제19SS 연대 제1 대대만이 제367 보병 사단의 지휘 하에 첫 실전을 경험했다. 이후 제2SS 기갑 군단의 목표는 테르노폴 구원으로 변경되었고, 11일 공격을 시작하여 보스슈카(Wosuszka) 강 동쪽에 교두보를 구축했다. 그러나 도로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았고, 14일 가교 작업 후 장갑 부대가 합류하여 공격을 재개, 15일 호다추코프-비엘키(Chodaczkow-Wielki)를 점령하고 테르노폴 수비대 일부가 탈출했다.
16일 포차핀체(Poczapince) 남서쪽으로 진출했지만, 소련군의 격렬한 반격으로 포위망 돌파는 실패했다. 18일부터 스트리파(Strypa)로 후퇴를 시작, 20일 북우크라이나 집단군[28] 예비가 되었다.
4월의 전투에서 사단은 전사 216명, 부상 705명, 행방불명 90명의 손실을 입었다. 5월은 재편성과 소련의 공세에 대비하는 기간이었다.
3. 2. 서부 전선 (1944년 6월 ~ 1945년 1월)
제9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은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서부 전선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6월 23일경 전장에 도착했다. 그러나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으로 인해 본격적인 전투는 6월 25일경부터 시작되었다. 최격전지인 캉 주변에 투입되어 방어전을 펼쳤지만, 미군이 독일군 전선을 돌파하면서 팔레즈 주변에서 포위전에 휘말렸다. 제2SS 기갑 사단 다스 라이히와 함께 포위망을 탈출했지만, 아미앵 주변 전투 등 독일군 철수의 후위를 담당하며 많은 병력과 장비를 잃었다.
연합군 상륙 이후 보충 없이 전투를 계속하여 사단의 병력은 크게 감소했다. 파리 해방 이후 연합군의 공세가 약화되자, 사단은 북프랑스에서 벨기에를 거쳐 아르넘 주변까지 후퇴했다. 여기서 제10SS 기갑 사단 프룬츠베르크에 장비를 넘겨주고 병력은 독일 본토에서 재편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연합군은 마켓 가든 작전을 개시했고, 호엔슈타우펜은 영국 제1 공수 사단으로부터 라인강에 가설된 철교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당시 부상당한 사단장을 대신해 발터 할츠 중령이 잔존 부대로 임시 편성한 전투단을 이끌고 제1 공수 사단을 괴멸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후 주변 부대를 흡수하여 제6 기갑군에 소속되어 라인의 방어 작전에 참여했다. 아르덴 공세(''라인강의 파수병'')에서는 제6SS 기갑군 휘하 부대로 제1SS 기갑 사단 아돌프 히틀러 및 제12SS 기갑 사단 히틀러 유겐트의 후방에 배치되었다가 작전 개시 5일째에 전선에 투입되었지만, 돌파에 실패하고 우파리즈 주변에서 큰 손실을 보았다.
1945년 3월, 손실을 회복하지 못한 채 봄의 각성 작전에 투입되어 동부 전선으로 이동했으나, 사실상 괴멸되었다. 잔존 부대는 전투단 형태로 후퇴를 계속하여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3. 2. 1.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캉 전투
호엔슈타우펜은 이동 중 연합군 전투폭격기의 방해를 받아 1944년 6월 26일에야 노르망디에 도착했다.[31] 이들은 원래 연합군의 해안 교두보를 공격할 예정이었으나, 캉을 목표로 한 영국군의 공세로 인해 계획을 변경해야 했다. 제2 SS 기갑 군단은 캉 수비전으로 약화된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전선에 투입되었다. 호엔슈타우펜은 영연방군의 엡솜 작전을 저지하기 위해 7월 초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여 1,2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7월 10일, 사단은 제277 보병사단과 교체되어 후방으로 물러났다.
캉 점령을 위한 영연방군의 또 다른 공세가 시작되자 호엔슈타우펜은 전선으로 복귀, 7월 15일 후방으로 다시 물러났다. 7월 23일, 사단의 기갑척탄병 연대가 통합되어 호엔슈타우펜 기갑척탄병 연대가 임시 편성되었다. 사단은 굿우드 작전 동안 영연방군의 기갑 부대를 힘겹게 수비하면서 상당한 손실을 냈지만 전선을 유지하는 데는 성공했다.
영연방군의 토탈라이즈 작전 개시 후, 호엔슈타우펜은 팔레즈 포위망에서 갇힌 아군을 구출하기 위해 치열한 퇴각전을 치렀다. 8월 21일 노르망디 전역이 종료되었고, 독일군은 센강을 건너 프랑스 내륙으로 완전히 철수했다. 사단 작전 참모 발터 하르처 SS중령이 지휘권을 인수했다. 사단은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친 퇴각전 동안 후위를 맡아 몇 번의 싸움을 더 치렀다. 1944년 9월 초, 피폐해진 사단은 휴식과 재편성을 위해 네덜란드 아른험 근방으로 물러났다.
사단은 노르망디 전역에 투입된 16,000여 명의 병력 중 약 4,000~5,000명을 잃었다.[31] 후방 부대는 거의 온전했지만 전투 부대의 피해는 매우 컸다. 8월 21일, 사단은 B 집단군 사령부에 전투 가능한 척탄병이 460여 명밖에 없다고 보고했다.[32] 가용 전차는 돌격포, 구축전차를 합해 약 20량뿐이었다.[33] 남은 전차 중 판터 8량과 4호 전차 2량은 9월 4일 제11 기갑 사단에 넘겨졌다.[34] 1944년 9월 초, 사단의 전투력은 여단급 정도였다.
3. 2. 2. 팔레즈 포위전과 아른험 전투
호엔슈타우펜은 이동 중 연합군 전투폭격기의 방해를 받아 1944년 6월 26일에야 노르망디에 도착했다.[11] 원래 연합군의 해안 교두보를 공격할 예정이었으나, 캉을 목표로 한 영국군의 공세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제2 SS 기갑 군단은 캉 수비전으로 약화된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전선에 투입되었다. 호엔슈타우펜은 7월 초까지 엡솜 작전 저지를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여 1,2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7월 10일, 사단은 제277 보병사단과 교체되어 후방으로 물러났다.
캉 점령을 위한 영연방군의 또 다른 공세가 시작되자 호엔슈타우펜은 전선에 복귀, 7월 15일 후방으로 다시 물러났다. 7월 23일, 사단의 기갑척탄병 연대가 통합되어 호엔슈타우펜 기갑척탄병 연대가 임시 편성되었다. 사단은 굿우드 작전 동안 영연방군의 기갑 부대를 힘겹게 수비하며 상당한 손실을 냈지만 전선을 유지했다.
영연방군의 토탈라이즈 작전 개시 후, 호엔슈타우펜은 팔레즈 포위망에서 갇힌 아군을 구출하기 위해 퇴각전을 치렀다. 팔레즈 포위환 밖으로 철수해 있던 사단은 좁은 탈출로를 유지하기 위해 악전고투했다. 8월 21일 노르망디 전역이 끝나고, 독일군은 센강을 건너 프랑스 내륙으로 철수했다. 사단 작전 참모 발터 하르처 SS중령이 지휘권을 인수했다. 사단은 프랑스와 벨기에를 거친 퇴각전 동안 후위를 맡아 싸웠다. 1944년 9월 초, 피폐해진 사단은 휴식과 재편성을 위해 네덜란드 아른험 근방으로 물러났다.
아른험에 도착하자 사단의 재편성이 시작되었다. 잔존 기갑 차량 대부분은 독일 본토의 정비공장으로 운송되기 위해 기차에 선적되었다. 9월 17일, 연합군의 마켓가든 작전이 개시되었고 영국 제1 공수 사단이 아른험 서쪽 오스테르베이크(Oosterbeek)에 강하했다. 위험을 감지한 제2 SS 기갑 군단장 비트리히 SS대장은 호엔슈타우펜과 프룬츠베르크에 임전태세를 명령했다. 사단의 기갑 차량들이 기차에서 하역되었고, 정비 부대는 기갑 차량들의 궤도간격을 재조정하기 위해 작업했다. 사단 기갑 부대 중 제9 SS 기갑수색 대대만이 구륜 및 반궤도 차량을 정수에 가깝게 보유하여 즉시 투입이 가능했다.
비트리히 SS대장은 호엔슈타우펜에 아른험을 점거하고 아른험 교량을 확보하라는 명령을 하달했다. 하르처 SS중령은 사단을 아른험에 투입했고, 영국 강하병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파울 그레브너(Paul Gräbner) SS대위가 지휘하는 기갑수색 대대가 네이메헌(Nijmegen) 부근으로 정찰을 목적으로 투입되었다.
기갑수색 대대가 아른험 남쪽에서 정찰을 할 무렵, 존 프로스트(John Frost) 중령의 영국 제1 공수 여단 2대대가 아른험으로 진입했고 다리 북쪽 끝에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 9월 18일, 그레브너는 복귀해 아른험 다리를 확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레브너 SS대위의 공격 시도는 처참하게 끝났다. 영국 강하병들은 선두 차량 4량을 보낸 후 피아트 대전차 로켓, 화염방사기 등으로 공격했다. 2시간의 전투로 호엔슈타우펜 기갑수색 대대는 괴멸되었으며, 그레브너 SS대위를 포함해 약 70명이 전사했고 차량 22량이 파괴되었다. 머나먼 다리에 이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8일에 걸쳐 벌어진 전투에 사단은 하루도 빠짐없이 참가했으며, 프로스트 중령의 대대와 아른험 서쪽에서 전투를 치렀다. 또한 오스테르베이크 부근에서 포위된 제1 공수 사단 본대를 압박했다. 아른험 전투는 호엔슈타우펜의 대승이었다. 격렬한 전투에도 불구하고 호엔슈타우펜 및 프룬츠베르크 장병들은 포로가 된 강하병들을 정중하게 대해주었으며, 비트리히 SS대장은 영국 제1 공수 사단을 붉은 악마라고 칭하며 그들의 끈기와 전투력에 주목했다.
마켓가든 작전의 패인이 "하필이면 아른험에 주둔한" 제9 SS기갑 사단 및 제10 SS기갑 사단 때문이라는 것이 기존 학설이었고, 영화 머나먼 다리 역시 코넬리우스 라이언의 동명 저서도 이 학설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새롭게 제기된 학설은 당시 제9 SS기갑 사단 및 제10 SS기갑 사단의 전력은 이름만 기갑사단일 뿐 전차는 거의 보유하지 않았으며, 앞서 언급된 그레브너 SS대위의 기갑수색 대대가 가용한 기갑 전력의 거의 전부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 2. 3. 아르덴 대공세
아르넘 전투 이후, 호엔슈타우펜 사단은 휴식과 재정비를 위해 파더보른으로 이동했다. 1944년 12월 12일, 사단은 남쪽 뮌스터아이펠로 이동하여 제프 디트리히의 제6SS 기갑군 예비대로 아르덴 공세(''라인강의 파수병'')에 참여했다. 제6 기갑군은 생 비트–비엘살름 방어선을 따라 북쪽으로 공격할 예정이었다. 초기에는 사단 정찰대와 포병 부대만 전투에 참여했지만, 12월 21일에 사단 전체가 투입되었다.[5] 제9SS 사단은 제82공수사단의 방어선을 돌파하려 했지만 실패했다.[20]
북쪽 공격이 교착되자, 사단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바스토뉴 공격을 지원했다. 그러나 미군 방어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연합군 지상 공격기에 의해 많은 장비를 잃었다. 1945년 1월 7일, 히틀러는 작전 중단을 명령하고 모든 병력에게 벨기에 롱샹 주변에 집중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제6 기갑군 소속으로 라인의 방어 작전에 참여했지만, 제6SS 기갑군 휘하 부대로 제1SS 기갑 사단 아돌프 히틀러 및 제12SS 기갑 사단 히틀러 유겐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작전 개시 5일째에 전선에 투입되었지만 돌파는 실패했고, 우파리즈 주변에서 큰 손해를 입었다.
3. 3. 헝가리 경칩 작전과 종전 (1945년 2월 ~ 5월)
1945년 1월, 호엔슈타우펜 사단은 독일 본토로 철수하면서 후퇴전을 치렀다. 1월 말,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카우펜하임-마이엔 지역으로 이동했다. 2월 말, 요제프 디트리히 SS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6 SS 기갑군에 배속되어 헝가리로 이동했다.[5] 사단은 투입된 SS 주력 기갑 부대들과 함께 루마니아 유전 지대 확보와 부다페스트에서 소련군에 포위된 부대 구출을 목표로 벌러톤호 인근에서 벌어진 경칩 작전에 참가했다.[21]
1945년 3월 6일, 열악한 지형 조건에도 불구하고 공격은 순조롭게 시작되었다. 그러나 도로 사정으로 인해 사단은 공격 개시 시점에 목표 지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진창길과 소련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공세는 좌절되었고, 3월 16일 소련군의 역공으로 제6 SS 기갑군이 분단될 위기에 처했다. 호엔슈타우펜 사단은 소련군의 포위망을 벗어나기 위해 분투했으며,[22] 이 과정에서 소련군 T-34와 IS 전차 80대를 파괴했다. 4월 6일, 사단의 잔존병들은 포위망을 돌파했다.
5월 1일, 크게 약화된 사단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슈타이르-암슈테텐 지역에 도착했다. 미군 진격을 저지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지만, 독일과 서방 연합국 간의 협상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교전은 없었다. 1945년 5월 8일, 사단의 잔존병들은 미군에게 항복했다.[5]
4. 전쟁 범죄
하인츠 하겐도르프(Heinz Hagendorf)는 의료 하사관으로, 1945년 1월 15일 벨기에에서 적십자 깃발이 붙은 구급차에서 미군을 향해 총을 쏜 혐의로 다하우 재판에서 기소되었다. 1946년 8월, 하겐도르프는 유죄 판결을 받고 6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항소심에서도 판결과 형량이 유지되었다.[23]
1946년, 중위 마르쿠스 리엔하르트(Markus Lienhart)는 1945년 3월 오스트리아 슈트라스강에서 미군 비행사 3명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비행기가 격추된 후, 비행사들은 항복했다. SS 장교 빌헬름 슈바이처(Wilhelm Schweitzer)가 도착하여 비행사를 호송하던 경찰관에게 그들을 살해하라고 명령했다. 경찰관이 거부하자 마르쿠스가 도착하여 직접 비행사 2명에게 총을 쐈다. 나머지 비행사는 마르쿠스의 아버지 프란츠 리엔하르트(Franz Lienhart)에게 공격받았다. 그러나 공습으로 인해 공격이 중단되었다. 이후 비행사는 SS에게 넘겨졌고, 신원 불명의 사람들에게 총살당했다.[24]
마르쿠스는 비행사 2명을 총으로 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함께 기소된 프란츠는 세 번째 비행사를 폭행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0년의 징역형과 중노동을 선고받았다. 마르쿠스는 1946년 10월 26일 잘츠부르크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프란츠는 구금 중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어 형량이 3년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1957년에 사망했다.[24] 슈바이처는 1948년에 재판에 회부되어 전쟁 범죄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말메디 학살 재판을 둘러싼 논란과 마르쿠스 리엔하르트가 독자적으로 두 명의 비행사를 쏜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감안하여, 슈바이처의 형량은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1950년대에 석방되었고, 1993년에 사망했다.[25][26]
5. 역대 지휘관
이름 | 계급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빌헬름 비트리히 | SS대장 | 1943년 2월 15일 | 1944년 6월 29일 |
질베스터 슈타들러 | SS소장 | 1943년 6월 29일 | 1944년 7월 10일 |
토마스 뮐러 | SS상급대령 | 1944년 7월 10일 | 1944년 7월 31일 |
프리드리히 빌헬름 보크 | SS소장 | 1944년 7월 31일 | 1944년 8월 29일 |
발터 하르처 | SS대령 | 1944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10일 |
질베스터 슈타들러 | SS소장 | 1944년 10월 10일 | 1945년 5월 8일 |
참조
[1]
문서
Reynolds P.3-312
[2]
문서
Reynolds P.1
[3]
문서
Reynolds P.2
[4]
문서
Reynolds P.4,90,262
[5]
문서
Windrow & Burn, p.15
[6]
문서
DiNardo, p.37
[7]
문서
Ripley, pp. 181–182
[8]
문서
Ripley, p. 182
[9]
문서
Reynolds P.11
[10]
문서
Reynolds P.12
[11]
문서
Reynolds P.17
[12]
문서
Reynolds P.43
[13]
문서
Reynolds P.52
[14]
문서
Reynolds P.48,49
[15]
문서
Reynolds P.66-81
[16]
문서
Reynolds P.67
[17]
문서
Reynolds P.72
[18]
문서
Reynolds P.77
[19]
웹사이트
ParaData.org.uk
https://www.paradata[...]
1944-10-01
[20]
문서
LoFaro G., “The Sword of St. Michael: The 82nd Airborne Division in World War II” 2011, p. 481
[21]
문서
Reynolds P.262-277
[22]
문서
Reynolds P.284-285
[23]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Hagendorf, Judgment, N/A (U.S. Intermed. Gov. Ct. (Dachau, Germany), Aug. 09, 1946)
http://www.worldcour[...]
2022-10-04
[24]
웹사이트
Aircrew Remembered Aviation Personal Histories and Databases
http://aircrewrememb[...]
2022-10-04
[25]
서적
Justiz und NS-Verbrechen
https://www.aup.nl/e[...]
2013-01
[26]
웹사이트
Schweitzer, Willi 'Tuck' (Waffen SS) - TracesOfWar.com
https://www.tracesof[...]
2022-10-04
[27]
문서
Tessin, p.156.
[28]
문서
3月30日に南方軍集団から改称
[29]
문서
Tessin, p.158.
[30]
문서
Taylor, Bender, p.53.
[31]
문서
Niklas Zetterling, Normandy 1944, German Military Organization, Combat Pow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J. Fedorowicz 2000) 339쪽, 341쪽
[32]
문서
B 집단군 작전 참모부 1944년 8월 21일자 전투일지 번호 6388/44, 워싱턴 국립 문서 및 기록 보관소 (NARA) 마이크로 필름 311집 4롤 7004565프레임
[33]
문서
서부 전구 총사령부 작전 참모부 1944년 8월 20일자 전투일지 번호 7050/44, 육군 총사령부(OKH)와의 전문, 위싱턴 국립 문서 및 기록 보관소 마이크로 필름 78집 313롤 6266029프레임 그리고 B 집단군 작전 참모부 1944년 8월 21일자 전투일지 번호 6388/44 , 워싱턴 국립 문서 및 기록 보관소 (NARA) 마이크로 필름 311집 4롤 7004565프레임
[34]
문서
G.W.Schrodek, Geschichte des Panzer-Regiment 15 (Schild, München 1976) 390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